web에 해당되는 http통신 부분은 포트 80 이고
laravel-echo-server에 해당되는 Tcp 소켓 통신은 포트 6001로 기본적으로 세팅 됩니다
nginx에서 http말고 Tcp소켓관련으로 따로 설정하실 것은 없고
laravel-echo-server와 redis 등 서버 앱들이 잘 돌아간다면
프론트에서 laravel-echo npm 라이브러리를 다운받으셔서
https://www.npmjs.com/package/laravel-echo
웹소켓통신을 신나게 하시면 됩니다
우선 현재 작업 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.
laravel 5.4
redis
socket.io
laravel-echo-server
socket.io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무작정 시도중입니다.
보니깐 web, redis, socket.io가 각각의 port에서 돌아가고 있는데...
socket.io 포트를 6001로 설정해둔 상태인데, socket.io의 서버 코드는 nginx에서 주소:6001을 따로 물려야하나요?
음.. 그니깐 php 서버 코드가 있는 프로젝트랑 분리되는건가요??
전혀 감이 안오네요. 일단 각각의 서비스들은 다 돌아가고 있습니다.
실제로 어떻게 호출하고 써먹어야하는질 모르겠습니다...
ㅠ.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