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ginx 설정 파일을 보시면 아래와 같이 소켓 (fastcgi_pass) 연결부분이 있습니다.
location ~ \.php$ { try_files $uri =404; fastcgi_split_path_info ^(.+\.php)(/.+)$; fastcgi_index index.php; fastcgi_pass unix:/var/run/php-fpm/php-fpm.sock; fastcgi_param SCRIPT_FILENAME $document_root$fastcgi_script_name; include fastcgi_params; }
여기만 변경해주시면 될것 같아요
답변 감사합니다.
질문이 너무 러프하지 않았나 싶네요
fastcgi_pass를 지정해서 하는 것은 설정을 해놓았구요
웹서버와 php-fpm 서버가 분리가 되면
컨턴츠를 어느곳에 두어야 하는지요 php-fpm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컨텐츠를 둔다면
그 장소를 지정하거나 변경하는 설정은 어디서 해야 하나요?
그리고 여러 서버에 디플로이할 때 순차적으로 진행이 될 텐데 컨텐츠의 정합성 문제와
웹화면을 통해 업로드 되는 파일의 확산은 어떤식으로 하시는지요?
웹서버와 php-fpm 이 분리가 된다하더라도 컨텐츠 저장소는 root 항목으로 잡아주시면 됩니다.
컨텐츠가 저장된 서버를 nginx 서버에 link 시켜서 해당 경로를 root 항목으로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
이렇게 사용 할 경우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컨텐츠 수정과 동시에 적용됩니다.
location ~ \.php$ { try_files $uri =404; fastcgi_split_path_info ^(.+\.php)(/.+)$; root /home/wikitree/www; fastcgi_index index.php; fastcgi_pass unix:/var/run/php-fpm/php-fpm.sock; fastcgi_param SCRIPT_FILENAME $document_root$fastcgi_script_name; include fastcgi_params; }
안녕하세요
LEMP서버 구축을 할 때 대부분 한 서버에 다 설치하거나 DB를 분리하는 구성으로 많이들 하실텐데요
php-fpm을 웹서버와 따로 분리해서 톰캣서버처럼 애플리케이션서버로 운용할 수가 있나요?
이런 경우 대부분 앞에 NginX를 리버스프록시를 두고 그 뒤에 LEMP서버를 여러대 배치하는 형식으로 하실텐데
아예 NginX와 PHP-FPM의 서버를 따로 분리해서 운용을 할 수 있는가 하는 겁니다.
혼자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갑자기 궁금해져서 질문 드려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