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
제가 라라벨로 API 서버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검색 관련 API를 만들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.
{URL}/api?type=a
이런 식으로 type을 받으면 $request→input('type') 했을 때 'a'를 받을 수 있고,
{URL}/api?type[]=a&type[]=b
이렇게 key에 []를 붙이면 $request→input('type') 했을 때 $type => ['a', 'b'] 이렇게 받아서 쓰고 있었는데요.
제가 웹 개발을 라라벨로 처음 해봐서 이런 방식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다른 언어나 프레임워크에서는
지원하지 않는 기능인가요?
같이 작업하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한테 이렇게 전달하니까 다들 이렇게 쓰는건 처음 봤다면서 왜 이렇게 하냐는 식으로
말씀을 하셔서 찾아보니까 관련된 정보가 없는 것 같아서요.
다른 분들은 여태까지 아래와 같이 전달해주면 백엔드에서 알아서 나눠서 사용 했었다고 하시더라고요.
{URL}/api?type=a,b
그래서 질문은 key[] 이런 식으로 파라미터를 배열로 받을 수 있는게 라라벨에서만 지원하는게 맞나요?
그리고 보통 다른 분을은 같은 key로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받고 싶을 때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시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려 봅니다.
감사합니다!
안녕하세요.
제가 라라벨로 API 서버를 만드는 작업을 하고 있는데 검색 관련 API를 만들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문의드립니다.
이런 식으로 type을 받으면 $request→input('type') 했을 때 'a'를 받을 수 있고,
이렇게 key에 []를 붙이면 $request→input('type') 했을 때 $type => ['a', 'b'] 이렇게 받아서 쓰고 있었는데요.
제가 웹 개발을 라라벨로 처음 해봐서 이런 방식이 당연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다른 언어나 프레임워크에서는
지원하지 않는 기능인가요?
같이 작업하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한테 이렇게 전달하니까 다들 이렇게 쓰는건 처음 봤다면서 왜 이렇게 하냐는 식으로
말씀을 하셔서 찾아보니까 관련된 정보가 없는 것 같아서요.
다른 분들은 여태까지 아래와 같이 전달해주면 백엔드에서 알아서 나눠서 사용 했었다고 하시더라고요.
그래서 질문은 key[] 이런 식으로 파라미터를 배열로 받을 수 있는게 라라벨에서만 지원하는게 맞나요?
그리고 보통 다른 분을은 같은 key로 여러개의 파라미터를 받고 싶을 때 어떤 방식으로 처리하시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려 봅니다.
감사합니다!